top of page

[이럴 땐 이런 앱] 작가 이계진: What’s in my phone?

  • 작성자 사진: artviewzine
    artviewzine
  • 2024년 8월 6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4년 8월 7일

누구보다도 섬세한 감각과 영감으로 가득한 예술가들, 그들의 스마트폰 안에는 어떤 앱이 자리하고 있을까? 8월 18일까지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에서 진행 중인 2024 성남작가조명전 <이계진: 우연한 삶>의 주인공, 이계진 작가의 최애 앱을 소개한다.


저는 2년마다 핸드폰을 가장 큰 용량으로 업데이트해요. 지난해 갤럭시노트에서 갤럭시 Z Flip 5로 바꾼 이유도 용량 때문이었는데요, 핸드폰 카메라가 발달하다 보니 용량은 클수록 좋은 것 같습니다. 작업 특성상 일상과 여행에서 찍은 사진을 이미지화해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요즘 핸드폰 카메라 성능이 워낙 좋아서 일반 카메라 대신 폰 사진을 인화하거나 그대로 보고 그리곤 해요.

ree

갤러리: Simple is the Best

기본 앱 중 하나인 갤러리에는 저만의 시선과 구도로 찍은 사진과 이미지들이 가득해요. “모든 자연 경물을 마음에 기록한다”는 뜻의 ‘함기심목(咸紀心目)’에 따라 멋진 경관을 마음의 눈으로 담을 수도 있지만, 기억하고 싶은 광경은 꼭 사진을 찍는 편입니다. 이렇게 느낀 바들을 갤러리에 두고 살펴보다 보면 작품에 큰 영감이 되어 주고, 나중에 작업하기도 편리하죠.


삼성노트: 노트 테이킹 & 스케치

갤럭시 기본 메뉴 ‘Samsung Note’도 즐겨 사용합니다. 타이핑 필기는 물론이고 연필, 볼펜, 붓 등으로 스케치를 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죠. 다른 유료 앱도 많지만 저는 가장 기본적인 것을 좋아해서 이 앱을 애용하고 있어요.


아트허브: 미술 정보 수집

전시 정보와 레지던시 공모, 아트잡 등을 볼 수 있는 미술 정보 플랫폼입니다. 즐겨찾는 메뉴는 ‘공모 & 모집’과 ‘현재 전시’인데, 성남아트센터 전시 공모도 여기서 발견해 지원할 수 있었어요. 궁금했던 작가의 전시 정보가 ‘현재 전시’ 메뉴에 뜨면 기억해 뒀다 방문하기도 하죠. 작가라면 그림 작업만큼 관련 정보 수집도 매우 중요한데, 아트허브에서 그 정보들을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어 추천합니다.


네이버사전: 글과 그림의 근원은 같다

중국어 공부를 시작하면서 사전을 더 자주 활용하고 있어요. 상형 문자인 한자의 특성 때문인지 단어를 검색하려면 획 하나하나를 거의 그리는 느낌으로 써야 하는데, 그런 면에서 네이버 사전은 매우 유용합니다! 특정 한자의 뜻이나 병음을 모를 때 앱을 열고 한자를 그대로 그리면 해당 단어를 검색할 수 있거든요. 동양화 화론을 공부하던 시절 가장 인상 깊었던 말은 “글과 그림의 근원은 같다”는 서화동원(書畵同原)이었는데 한자와 중국어를 배우며 이 말에 더욱 공감하고 있습니다.


당근마켓: 아껴 쓰고 바꿔 쓰고 다시 쓰자

미술 재료를 구할 때에는 인사동의 송지방, 성심필방, 구하산방 등을 방문하거나 화방넷, 호남한지필방, 송정필방, 동남필방 등의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해요. 다만 시간 여유가 없을 때면 주저 없이 당근마켓을 씁니다. 작업 중 먹이나 아교가 동이 나도 바로 작업을 이어 가야 해서, 당근을 켜고 주변을 살펴보죠. 동양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꽤 있어서인지 생각보다 많은 재료들이 좋은 상태, 심지어는 새 제품으로 나오기도 해요. 그럴 경우 바로 ‘득템’이 가능하죠!

ree

이계진

서울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소금과 먹을 이용한 ‘소금산수’ 시리즈 작업을 이어 가고 있다. 현재 8월 18일까지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에서 진행 중인 2024 성남작가조명전 3 <이계진: 우연한 삶>에서 작가의 작품 세계를 살펴볼 수 있다.

태그: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