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PECIAL
VIEW
CULTURE+
SEONGNAM+
지난호 보기
Vol.181
Vol.180
Vol.179
Vol.178
Vol.177
Vol.176
Vol.175
Vol.174
Vol.173
More
Use tab to navigate through the menu items.
[인트로] 성남의 문화예술 소식
청소년과 문화예술을 잇다: 성남미래교육 뮤지컬 <페치카> 성남문화재단이 청소년들에게 특별한 문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뮤지컬 갈라 콘서트 <페치카>를 5월 23일(금), 5월 26일(월)~30일(금)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에서 선보였다....
INTRO
[깊이보기] 업스케일링 성남 커뮤니티: 예술과 기술이 만든 새로운 세상
기술과 예술이 경계를 넘나들며 끊임없이 진화하는 오늘날, 이제 기술은 삶의 방식을 재구성하는 동반자가 되었다. 과거 창작 작업에서 전문 테크니션이 구현하던 기술적 요소들은 다양한 AI 툴을 활용한 1인 제작도 가능하다. 특히 미디어아트와...
SPECIAL
[디렉터 + 멘토의 이야기] 남기륭, 유태양, 전석희, 홍서연: 창작의 바다로 함께 나아가기
<업스케일링 성남 커뮤니티>의 미덕은 이 프로그램이 단순한 기술의 배움이 아닌, 서로의 창작 세계를 나누며 함께 성장하는 예술적 연대의 장이었다는 점이다. 배움과 경험, 참여와 연결 속에 모두가 ‘업스케일링’을 이룬 이 프로그램의 기저에는 언제나...
SPECIAL
[참여 작가들의 이야기] 송효근, 오상민, 윤호현, 정치구, 한광우: 더 나은 일상을 위한 AI
<업스케일링 성남>과 함께한 참여자들은 이미 각자의 장르에서 꾸준한 성취를 이뤄 가고 있는 예술가들이다. 기술과 예술이 서로의 경계를 넘어 창작의 영역을 확장하는 지금, 자신만의 언어로 새로운 융합예술을 모색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인 그들의...
SPECIAL
[인터뷰] 윤정국 성남문화재단 대표이사: 기술과 예술,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문화공간을 꿈꾸다
윤정국 성남문화재단 신임 대표이사가 지난 4월 2일, 제8대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동아일보 기자와 문화부장을 거쳐 충무아트센터 사장,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무처장, 김해문화의전당 사장과 김해문화재단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며 중앙과 지역의 문화예술...
VIEW
[미리보기 1] 조성진 피아노 리사이틀: 젊은 거장의 미래를 엿보다
어느 분야든 현명한 사람은 자신의 과거를 차분하게 돌아보고 그것을 전진의 자양분으로 삼는다. 거기에 멘토로 생각하는 인물들의 이야기나 경험 등을 얹을 수 있다면 금상첨화이겠다. 조성진의 행보가 그를 사랑하는 팬들 모두에게 흐뭇함과 든든함을 동시에...
VIEW
[미리보기 2] 더 매직, 조수미 & 위너스: 찬란한 영광과 미래의 가능성을 잇다
우리나라 성악계의 한 세대의 상징과도 같은 소프라노 조수미가 오는 6월 성남을 찾는다. 그러나 이번 무대는 조수미 혼자가 아니다. 조수미가 직접 발굴한 젊은 성악가들과 함께하는 특별한 시간. <더 매직, 조수미 & 위너스>는 단순한 갈라 콘서트를...
VIEW
[미리보기 3] 작곡가 시리즈 <모차르트 II> + 손열음 & 고잉홈프로젝트: 서로 다른 언어로 말하는 아름다움
시대를 초월해 사랑받는 클래식의 영원한 고전 모차르트. 그리고 올해 탄생 150주년을 맞은 라벨. 100년이라는 시간차를 두고 활동한 모차르트와 라벨은 완전히 다른 소리를 구현하지만, 여전히 우리에게 음악의 아름다움을 전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VIEW
[미리보기 4] 2025 성남의 얼굴전 <무해한 이야기>: 예술이 전하는 ‘긍정의 힘’
2006년 첫 전시를 시작으로 올해 열여섯 번째를 맞이한 ‘성남의 얼굴전’은 지역 문화예술 저변 확대 및 발전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주제로 진행되는 성남큐브미술관 대표 기획 전시이다. 성남이라는 지역성 및 관계성을 지닌 작가들을 꾸준히 조망해...
VIEW
[인터뷰] 소프라노 조수미: 이제, 미래를 노래할 시간
대한민국에서 조수미의 이름은 성악, 나아가 클래식 음악의 대명사다. 내년이면 벌써 세계 무대 데뷔 40주년, 그러나 여전히 눈부신 에너지로 무대를 누비는 현역의 거장은 자신이 지닌 ‘예술의 힘’을 더 가치 있게 나누기 위한 행보 역시 지속...
VIEW
[공연장 옆 영화관] 영화 <문라이즈 킹덤>: 소년과 소녀의 사랑, 세상의 금기에 도전하다
『우연히, 웨스 앤더슨(Accidentally Wes Anderson)』이라는 책이 있다. 사진집이다. 국내에서는 2021년 첫 출간됐고 올해 2권이 나왔다. 꽤 잘 팔리는 책이라는 의미다. 웨스 앤더슨은 미국 영화감독이다. 한국에서는 <그랜드...
CULTURE+
[트렌드] 창작의 동반자로 AI 활용하기: 질문 하나로 만드는 새로운 세계
AI를 활용한 창작의 가장 큰 장점은 전문적인 기술 지식 없이도 내가 상상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나만의 오리지널리티와 상상력만 있다면 기술 부분은 인공지능이라는 협력자가 해결해 준다. 과거에는 막대한 시간과 예산이 필요했던 표현의...
CULTURE+
[사라진 디자인] 러시아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 모스크바의 곰과 사회주의 그래픽
2014년 러시아 소치(Сочи)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폐막식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러시아 예술가들의 작품이 연출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절대주의(suprematism)의 기하학적인 대형 그래픽이 공중에 떠 있는 장면이 지금도 기억난다. 카지미르...
CULTURE+
[성남의 예술가] 소프트 조각가 김채윤: 미술이 도시를 기억하고 기록할 때
기억은 불완전하다. 불완전한 기억을 저장하고 꺼낼 때 우리는 저마다의 매개체를 사용한다. 김채윤 작가는 부드러운 천을 꿰매고 깁는 행위로 기억을 기록하고 감정을 구체화한다. 그 대상은 작가가 태어나고 자란 성남이라는 지역,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SEONGNAM+
[성남아트센터 개관 20주년] 성남아트센터, 20년의 기록: 찬란히 빛나던 순간들 2012-2015
2005년 10월 14일. 성남시민의 문화향유를 위해, 세계 속의 문화도시 성남시를 만들기 위해 성남아트센터가 문을 열었습니다. 그로부터 20년, 도시 곳곳에 문화예술을 꽃피우기 위해 함께 걸어온 그간의 발자취, 알차고 풍요로웠던 아름다운 예술의...
SEONGNAM+
[성남아트센터 가이드] Calendar + Map
다채로운 음악 콘서트와 전시회부터 흥미진진한 뮤지컬과 연극까지, 성남아트센터가 준비한 다양한 예술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새로운 감동으로 특별한 순간을 만들어 보세요.
SEONGNAM+
[6·7월 큐레이션] 발레 스타즈 外
발레 스타즈 <백조의 호수> <돈키호테> <지젤> <해적> 등 고전 명작 발레부터 감각적인 컨템퍼러리 작품까지, 세계 최정상 발레 스타들과 한국 발레의 라이징 스타들이 선보이는 아름다운 무대. 미국 보스턴 발레단 수석 무용수 채지영과 솔리스트...
SEONGNAM+
[성남아트센터 공간 탐구생활] 성남아트센터 ‘카페 콘서트’, 공연 없이도 즐기는 힐링 스팟
성남아트센터의 숨은 꿀자리를 소개합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무더운 여름이 찾아왔습니다. 덥고 습한 날씨에 조금만 거리를 걸어도 지치는 계절인데요, 은행 다음으로 시원한(?) 피서 맛집, 시원한 음료 한 잔으로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성남아트센터 내...
SEONGNAM+
[성남아트센터 후원회 안내]
SEONGNAM+
bottom of page